에피타프 레코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피타프 레코드는 1981년 배드 릴리전의 브렛 가비츠가 배드 릴리전 앨범 발매를 위해 설립한 미국의 독립 레코드 레이블이다. 1994년 오프스프링의 앨범 《스매시》의 성공과 저가 옴니버스 앨범 《펑크 오 라마》의 히트로 펑크 밴드 중심의 인디 레이블로 성장했다. 배드 릴리전, 오프스프링, NOFX, 랜시드 등 다수의 펑크 밴드들이 소속되어 있으며, 2000년대 이후 다양한 장르의 밴드를 영입하며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음반사 - 체스 레코드
체스 레코드는 1947년 미국에서 설립되어 머디 워터스, 척 베리 등 블루스, 로큰롤, 재즈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롤링 스톤스 등이 앨범을 제작한 음반사이며, 1975년 활동을 중단하고 현재는 유니버설 뮤직 그룹이 음원 권리를 소유하고 있다. - 미국의 음반사 - 서브 팝
서브 팝은 1979년 브루스 파빗이 창간한 팬진에서 시작된 미국의 독립 음반 레이블로, 시애틀 사운드를 대표하는 레이블로 성장하여 닐바나의 성공으로 재정적 안정을 얻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들과 친환경 경영을 추구한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에피타프 레코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에피타프 레코드 |
원어명 | Epitaph Records |
![]() | |
국가 | 미국 |
위치 | 캘리포니아주할리우드 |
장르 | 펑크 록 |
웹사이트 | 에피타프 레코드 공식 웹사이트 |
설립 정보 | |
설립일 | 1980년 |
설립자 | 브렛 구레위츠 |
유통 | |
미국 | AMPED Distribution |
영국 | PIAS |
과거 | ADA |
2. 역사
배드 릴리전의 브렛 가비츠가 1981년에 자신의 밴드 음반을 발매하기 위해 에피타프 레코드를 설립했다.[2] 1987년 L7의 앨범 『L7』을 발매했는데, 이는 배드 릴리전 외 밴드의 첫 발매 앨범이었다.
초창기에는 작은 레이블이었지만, 1994년 오프스프링의 앨범 『스매시』와 저가 옴니버스 『펑크 오 라마』가 크게 히트하면서 성장했다. 다른 레코드 회사들도 저가 옴니버스를 발매하여 펑크 음악 리스너를 늘리는 데 기여했다. 에피타프는 프로모션 비디오를 인터넷에 무료로 배포하기도 했으며, 이는 일본 미디어에도 소개되었다. 오프스프링, NOFX, 랜시드, 페니와이즈 등 펑크 밴드를 배출하며 거대 인디 레이블로 성장했지만, 초창기 스타일을 유지하며 현재도 주택에서 웹사이트, 라디오, 음악 편집 등을 하고 있다.
2. 1. 초기 (1980년대)
브렛 구레비츠는 자신의 밴드 배드 릴리전의 음반을 발매하기 위해 에피타프 레코드를 설립했다.[2] 레이블 이름은 킹 크림슨의 냉전 저항 노래 "에피타프"에서 따온 것으로, "혼란은 나의 묘비가 될 것이다"라는 가사가 사용되었다.[3]1981년 레이블의 첫 발매 음반은 배드 릴리전의 동명의 EP였고, 이어서 첫 정규 앨범인 ''How Could Hell Be Any Worse?''가 발매되었다. 이 기간 동안 더 반달스의 EP ''Peace thru Vandalism''도 발매되었는데, 더 반달스는 배드 릴리전 외에 에피타프와 계약한 첫 밴드였다. 배드 릴리전은 일시 해산 전까지 ''Into the Unknown''과 EP ''Back to the Known'' 2개의 음반을 더 발매했다.
1987년 구레비츠가 마약 문제를 해결한 후, 에피타프와 배드 릴리전 모두 재결성되었다. 1988년 에피타프는 L7의 동명의 앨범을 발매했는데, 이는 에피타프가 제대로 된 레이블로서 발매한 첫 음반이었고 카멜레온에서 유통했다. 같은 해 배드 릴리전은 ''Suffer''를 발매했다.
1989년 구레비츠는 NOFX와 계약하고, 같은 해에 데뷔 음반 ''S&M Airlines''를 발매했다. 이 음반에는 동명의 곡 뮤직 비디오와 플리트우드 맥의 "Go Your Own Way" 커버가 수록되었으며, 구레비츠와 그렉 그래프 등 배드 릴리전 멤버들이 게스트 보컬로 참여했다. 이어서 배드 릴리전의 ''No Control''과 ''Against the Grain''이 발매되었으며, 각각 6만[4] 장과 10만[5] 장이 팔렸다.
2. 2. 성공과 확장 (1990년대)
1990년대 초, 더 많은 펑크 밴드들이 에피타프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고, 레이블은 로스앤젤레스 실버 레이크에 있는 새로운 사무실로 이전했다.[2]배드 릴리전은 에피타프 레코드의 창립 밴드였고, 초기 음반을 이 레이블을 통해 발매했지만, 1993년에 애틀랜틱 레코드로 이적했으며, 《Recipe for Hate》가 이 레이블에서 발매된 첫 번째 음반이었다. 브렛 구레비츠는 내부 갈등으로 인해 배드 릴리전을 떠난 것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1994년에 에피타프 레코드를 전업으로 운영하기 위해 밴드를 떠났다.
1994년에 오프스프링이 발매한 앨범 《스매시》와 저가로 발매한 옴니버스 《펑크 오 라마》가 크게 히트했다. 다른 레코드 회사들도 앞다투어 저가 옴니버스를 발매하여, 리스너를 늘리는 데 성공했다. 또한 이 외에도 무상으로 프로모션 비디오를 인터넷상에 배포했으며, 그 사실이 일본의 미디어 등에 소개된 적이 있다. 오프스프링, NOFX, 랜시드, 페니와이즈 등의 펑크 밴드를 배출하며, 다수의 펑크 밴드가 소속된 거대한 인디 레이블로 변모했다.
2. 3. 변화와 다양화 (2000년대)
2001년, 브렛 구레비츠가 배드 릴리전에 복귀했고, 밴드는 에피타프 레코드로 돌아와[6] Age of Unreason(2019)까지 7개의 앨범을 더 발매했다.2005년 중반, 에피타프는 다른 여러 유명 독립 레이블과 함께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의 공식 회원 명단에 추가되었다.[7] 등재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한 소식통은 인터넷 P2P 배포에 대한 합의를 지적했고,[8] 다른 소식통은 레이블 경영진이 RIAA에 가입하여 음반 발매에 대한 공식 "골드" 또는 "플래티넘" 레코드 인증을 받으려고 했다고 주장한다.[9] 이는 RIAA 회원일 경우 더 이상 독립 레이블로 분류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일부 사람들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9]
2. 4. 최근 (2010년대 ~ 현재)
2010년 위저(Weezer)와 계약을 맺고, 같은 해에 앨범 ''헐리''를 발매했다.[11] 같은 해 소셜 디스토션(Social Distortion)과도 계약했다.[12] 2011년에는 호주 펑크 밴드 데인저러스! (Dangerous!)와 계약, 앨범 ''Teenage Rampage''를 발매했고, 캐나다 펑크 록 밴드 프로파간다(Propagandhi)와도 계약했다. 에피타프 레코드는 이모 부흥을 이끄는 밴드들을 적극적으로 영입했는데, 더 멘징어스(The Menzingers), 조이스 메이너(Joyce Manor), 피아노스 비컴 더 티스(Pianos Become the Teeth), 디피터(Defeater), 더 월드 이즈 어 뷰티풀 플레이스 & 아이 엠 노 롱거 어프레이드 투 다이(The World Is a Beautiful Place & I Am No Longer Afraid to Die), 투셰 아모레(Touché Amoré) 등이 대표적이다.3. 주요 아티스트
다음은 에피타프에 소속되었거나, 예전에 소속되었던 음악가들의 목록이다.
과거 소속 아티스트 | 과거 소속 아티스트 |
---|---|
valign="top"| | valign="top"| |
과거 소속 아티스트 (해체/활동 중단) | 과거 소속 아티스트 (다른 레이블과 활동) | 과거 소속 아티스트 (기타) |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3. 1. 현재 소속 아티스트
현재 소속 아티스트 |
---|
3. 2. 과거 소속 아티스트
과거 소속 아티스트 | 과거 소속 아티스트 |
---|---|
valign="top"| | valign="top"| |
과거 소속 아티스트 (해체/활동 중단) | 과거 소속 아티스트 (다른 레이블과 활동) | 과거 소속 아티스트 (기타) |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4. 앨범 판매 기록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는 에피타프 레코드에서 발매한 앨범 중 오프스프링의 ''Smash''에 6x 플래티넘, 랜시드의 ''...And Out Come the Wolves''에 플래티넘 인증을 부여했다.[13]
에피타프 레코드 또는 자회사인 헬캣과 ANTI-에서 발매한 앨범 중 다음 7개는 50만 장 판매를 기록하며 골드 인증을 받았다.[13]
- 오프스프링의 ''Ignition''
- NOFX의 ''Punk in Drublic''
- 랜시드의 ''Let's Go''
- 톰 웨이츠의 ''Orphans: Brawlers, Bawlers & Bastards''
- Falling in Reverse의 ''The Drug in Me Is You''와 ''Popular Monster''
- Dropkick Murphys의 ''The Warrior's Code''
- Bring Me the Horizon의 ''Sempiternal''
5. 컴필레이션 앨범
6. 산하 레이블
- 헬캣 레코드
- 안티 레코드
- 팻 포섬 레코드
- 버닝 하트 레코드
- 하트 앤드 스컬 레코드
참조
[1]
간행물
Epitaph & Anti- Partner With AMPED for US Physical Distribution
http://www.billboard[...]
2019-10-18
[2]
서적
Epitaph Records
Virgin Books
1999
[3]
논문
Against the Grain: The Oral History of Epitaph Records
2010-11
[4]
웹사이트
No Control (album) – The Answer – The Bad Religion Page – Since 1995
http://www.thebrpage[...]
2015-06-07
[5]
웹사이트
Against The Grain (album) – The Answer – The Bad Religion Page – Since 1995
http://www.thebrpage[...]
2015-06-07
[6]
뉴스
Punk's been good to bad religion
South Florida Sun-Sentinel
2002-03-01
[7]
웹사이트
RIAA – default members – June 07, 2015
https://www.riaa.com[...]
Record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2015-06-07
[8]
웹사이트
News
https://www.grammy.c[...]
National Academy of Recording Arts and Sciences
2017-04-30
[9]
웹사이트
Mammoth Press
https://web.archive.[...]
2015-06-07
[10]
웹사이트
F.A.Q.: Community: Fat Wreck Chords
https://web.archive.[...]
2015-06-07
[11]
웹사이트
Weezer Sign to Epitaph, Announce 'Hurley' Album
http://www.spinnermu[...]
Spinner
2010-08-05
[12]
뉴스
Rock band Weezer honors 'Lost' star on new album
https://web.archive.[...]
Reuters
2010-08-11
[13]
웹사이트
Gold & Platinum – Record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Epitaph
https://www.riaa.com[...]
Record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2017-11-15
[14]
웹사이트
DC Video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